2022. 12. 13. 14:00ㆍ영화리뷰
- 목차
<실화 한국 영화 추천 1987 줄거리 결말>
영화 1987 장르는 드라마, 실화 입니다. 감독은 장준환 대표작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1987, 세자매 등을 연출 했습니다. 주연 배우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김태리, 박희순 등이 출연 했ㅅ브니다. 2017년 개봉작이며 상영시간 129분 입니다.
◎ 영화 1987 줄거리
민주 항쟁의 기폭제가 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배경으로 진실을 은폐하려는 정부 세력과 목숨을 걸고 진실을 알리려는 사람들간의 이야기를 다룬 내용입니다.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이 사망하게 되고 박처장은 증거 인멸을 시도합니다. 경찰은 단순 쇼크사로 거짓 발표를 하게되고 담당 검사와 사건을 취재하던 기자에 의해 거짓된 진실이 세상에 밝혀지려 합니다. 한 명의 죽음으로 모든 것이 변화된 1987녕의 이야기 입니다.
◎ 영화 1987 내용
1987년 군사정권 시절을 배경으로 한 대의 구급차가 어디론가 급하게 이동하는 장면이 나타납니다. 영화의 시작은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을 시작으로 6월 항쟁이 탄생된 배경을 설명합니다.
구급차가 도착한 곳은 남영동 대공분실이었고 그곳에서 고문받던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고문을 받다 사망하게 됩니다. 이 소식은 곧바로 공권력의 상징과도 같았던 대공수사처장 박처원의 귀에 알려지게 되고 이 사건이 거대한 불씨가 될 것임을 직감한 그는 곧바로 심장마비 쇼크사로 사건을 덮으라 지시합니다.
남영동 대공분실은 겨찰청 보안국이 설치했던 기관으로 설립 당시 목적은 간첩과 국가보안법 위반자를 조사하는 것이지만밀실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고 강력한 공권력이 뒷받침 되어 있었기에 군사독재 시절 높으신 분들의 심기를 건드린 사람들을 연행해 없는 죄도 뒤집어 씌우던 악명 높은 기관입니다.
박처원의 지시로 증거인멸을 위해 시신을 화장하려 햇지만 검사 최환이 지시를 거부하고 시신 보존 명령을 내린 뒤 부검을 명령하게 됩니다. 결국 은폐를 시도했던 사건은 기사화 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지만 최검사는 해임이 되고 경찰은 조직적으로 사건을 축소 은폐 시도를 하게 됩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당시 중앙일보 사회부 기자였던 신성호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게 되고 경찰의 집요한 사건 은폐에도 불구하고 현장에 남은 흔적과 부검 소견을 바탕으로 박종철 군이 물고문 도중 질식사로 사망한 것을 보도하게 됩니다.
심기가 불편해진 박처장은 사건 담당자인 조반장을 비롯한 형사 둘을 구속시키며 사건을 축소시키려 시도하게 되고 조직에 의해 배신당한 조반장이 교도소에 수감된 상태에서 교도관 한병용에게 조직이 은폐하려던 사건의 진상을 폭로하게 되고 내부 고발자에 의해 사건의 진실이 수면위로 드러나게 됩니다.
한병용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짜 범인에 대해 알게되었고 이 사실을 민주운동가 김정남에게 알리기 위해 조카 연희에게 부탁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세상이 바뀌지 않는다는 생각이 빠져 있던 연희는 우연히 이한열이라는 대학생을 만나게 되면서 광주 사건의 진실을 듣게 되고 한병용 마저 잡혀들어가게 되자 마음을 바꾸게 되는데요.
스물두 살 서울대학생인 자랑스러운 아들이 졸지에 시신으로 돌아와 처갑게 얼어붙은 강물 속에 흘려보내야 했던 아버지의 슬픔과 조직적으로 사건을 은폐하려던 세력 그리고 이들의 진실을 세상에 알리기 위한 사람들의 숨막히는 사건들속에 드디어 증거가 김정남의 손에 들어가게 되고 천주교 정의구현 전국사제단 김승훈 신부가 이를 공개하게 됩니다.
이 사건으로 민주화 운동에 기폭제가 되고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 호헌철폐와독재타도를 외치게 됩니다. 그리고 사람들과 함께 시위에 참여했던 이한열 열사가 최루탄에 맞아 희생이 되고 이 내용이 대서특필 되면서 1987년 <6월 항쟁>으로 분노한 국민들이 정의구현을 외치게 됩니다.
◎ 영화 1987 결말
애국학생 고 이한열 열사 영결식이 대대적으로 국민장으로 진행이 되고 항쟁의 민주주의 운동이 전국적으로 번질 기세로 드러나자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정부는 결국 모든 책임을 박처원과 그의 수하들에게 책임을 묻게 되고 결국 자신보다 더한 권력의 장기말일 뿐이었다는 비참한 결말을 끝으로 영화는 막을 내리게 됩니다.
흥미로운 점은 '탁 하고 치니 억 하고 죽었다'라고 말한 경찰처장 역의 우현이 사실 6월 항쟁 당시 누구보다 가장 앞장서서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던 인물인데 영화에서는 전혀 다른 역으로 출연한 점인데요. 우현 나무위키를 찾아보면 이한열 열사의 영정 사진 옆에서 태극기를 들고 항쟁한 장면이 나온답니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영화 추천 박열 줄거리 결말 (0) | 2022.12.14 |
---|---|
액션 영화 추천 캐시트럭 줄거리 결말 스포 (0) | 2022.12.14 |
전쟁 영화 추천 인천상륙작전 확장판 줄거리 결말 (0) | 2022.12.13 |
코미디 영화 추천 언터처블 1%의 우정 줄거리 결말 넷플릭스 실화 (2) | 2022.12.13 |
액션 영화 추천 파이널 디씨전 줄거리 결말 (2) | 2022.12.13 |